제품소개

  • Home
  • 제품소개
  • 인조잔디 소개

Product Solution and Technical Explanation

형태 안정성이 강화된 인조잔디

바잘트 섬유의 특징

인조잔디 소개
구분 특징
친환경 천연 유래 소재(현무암)
친환경적(유해성 무)
물리적 특성 인장강도, 탄성, 충격 특성 우수
내열성 1400℃ 이상까지 변형 없음
내화학성 내산성, 내염기성 등 화학적 변화에도 안정

기존 제품과 비교

기존 제품과 비교
구분 SBR Backing PE Backing 바잘트 형태안정층
도면

PP기포지(1겹)
+SBR Backing(코팅)


PP기포지(1겹)
+PE Backing(코팅)


PP Double Layer 기포지 (1겹)
+PET N/P(바잘트1겹)
+PET SPB Backing(코팅)
구성 총2겹
(PP기포지+SBR 코팅)
총2겹
(PP기포지+PE 코팅)
총2겹
(PP기포지+PE 코팅)
기술성 일반적 SBR 코팅 기술 기포지와 PE Backing부 균일 융착 총4겹(PP“DOUBLE” layer
+바잘트 부직포 + PET SPB)
장점 재료 입수 용이 침수후 인발강도 유지율 GOOD
재활용성 EXCELLENT
침수후 인발강도 유지율 EXCELLENT
재활용성 EXCELLENT
단점 침수 후 인발강도 유지율 BAD
재활용성 BAD
고온 치수 안정성 BAD
충전시 치수 안정성 BAD  
발효 왕겨를 사용한 충전재

CO2 감축, 녹색성장 기여.

농업 폐기물 왕겨 사용으로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및 리사이클링 제품.

친환경 제조 공법 개발 및 사용.

왕겨 불순물(리그닌 外)을 제거하여 계면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폐수가 발생하는 화학처리가 아닌 당사에서 개발한 복합효소를 사용한 왕겨 개질.

우수한 인장강도 및 내구성 강화.

개질한 왕겨와 다른 성분들과의 압출성형을 통한 우수한 인장강도 및 내구성(내마모성)을 강화한 천연복합소재 충전재.

Explanation Stable layer of shape

형태 안정층 설명

당사 인조잔디 구조체 구성 (백킹층 - 기포층 - 형태안정층 - 인조잔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바잘트 섬유로 이루어진 형태안정층으로 사용자의 부상 최소화.

제품 시험성적서 비교 결과

인조잔디 기포지(TM-55)

인조잔디 기포지(TM-55)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비고
치수안정성-길이(고온) % 의뢰자 제시 0.0 -
치수안정성-폭(고온) % 의뢰자 제시 0.0 -

인조잔디 기포지(대조군 A사)

인조잔디 기포지(대조군 A사)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비고
치수안정성-길이(고온) % 의뢰자 제시 -0.9 -
치수안정성-폭(고온) % 의뢰자 제시 -0.8 -

인조잔디 기포지(대조군 B사)

인조잔디 기포지(대조군 B사)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비고
치수안정성-길이(고온) % 의뢰자 제시 -0.8 -
치수안정성-폭(고온) % 의뢰자 제시 -0.3 -
제품특징

발효 왕겨를 포함하고 있는 인조잔디 충전재

제품특징
제품명 PVB SEBS 천연 칩 TM-Fill
사진
특징
  • 저가형 구장에 적합
  • 떡짐, 뭉침 현상 발생 多
  • 경화 되어 마찰 및 부상 발생 多
  • 유해성 여부 확인 필요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임
  • PVB 경화 문제 보완
  • 원재료의 대부분이 화학재료
  • 재료간 결합력 부족 (인장강도, 내마모성 등 저하) → 내구성 저하
  • 비중이 가벼워 유실이 많이 됨
  • 천연소재 사용으로 원가 증가
  • 기존 SEBS칩 대비 성능 저하
  • 발효 왕겨 천연 재료 사용 하여친환경성 증대
  • 왕겨를 발효 후 계면결합 하여기존 천연 칩 내구성 문제 개선
  • 친환경 소재 및 제조 공법 사용 하여탄소 저감 및 친환경성 증대
  • 천연 재료 사용하나 기존 제품 대비 원가 동등 수준
  • 기존 충전재 대비 성능 동등 이상

인조잔디 충전재 직접 생산 과정

  • 압출

  • 커팅

  • 경화 숙성

  • 탈수

  • 선별

  • 포장

“TM-Fill”은 기존 사용되던 충전재들의 장점만 도출하여 생산된 최상 품질의 인조잔디 충전재 입니다.

또한, 타 업체와 다르게 인조잔디 뿐 만 아닌 인조잔디 충전재도 직접 생산하는 유일한 회사입니다.

충전재 관련 사례

발효 왕겨를 포함하고 있는 인조잔디 충전재

충전재 내구성 시험 결과

제품특징
구분 TM-Fil A사 B사 비고 (시험방법)
내 마모성 ( mg ) 740 767 1,139 KS M ISO 5470-1
인장강도 ( Mpa ) 1.94 1.07 1.06 KS M 6518
  • 충전재 내구성 불안정한 경우 문제 사진

  • 형태 안정 관련 공인기관 시험 성적서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증대하면서도 타 제품 대비 월등한 내구성 효과 구현

제품특징

조달우수제품 유해성 기준 비교

충전재 유해성 시험 결과

제품특징
시험 항목 단위 KS 품질 기준 TM 품질기준 A사 B사 C사
중금속 Pb ㎎/㎏ 90 이하 불검출 25 이하 18 이하 45 이하
Cd 50 이하 불검출 15 이하 10 이하 25 이하
Cr6+ 25 이하 불검출 10 이하 5 이하 10 이하
Hg 25 이하 불검출 10 이하 5 이하 10 이하
중금속   용출a Al ㎎/㎏ 70,000이하 불검출 21,000 이하 7,000 이하 70,000이하
Sb 560 이하 불검출 170 이하 56 이하 560 이하
As 47 이하 불검출 15 이하 9 이하 47 이하
Ba 18,750 이하 불검출 5,500 이하 900 이하 18,750 이하
B 15,000 이하 불검출 4,500 이하 3,000 이하 15,000 이하
Cr 460 이하 불검출 150 이하 90 이하 460 이하
Co 130이하 불검출 40 이하 25 이하 130이하
Cu 7,700이하 불검출 2,300 이하 1,500 이하 7,700이하
Mn 15,000이하 불검출 4,500 이하 3,000 이하 15,000이하
Ni 930이하 불검출 280 이하 200 이하 930이하
Se 460이하 불검출 150 이하 90 이하 460이하
Sr 56,000이하 불검출 17,000 이하 10,000 이하 56,000이하
Sn 180,000이하 불검출 54,000 이하 20,000 이하 180,000이하
Zn 46,000이하 불검출 14,000 이하 9,000 이하 46,000이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BP ~ DIDP % 총량 0.1 이하 불검출 불검출 총량 0.1 이하 총량 0.1 이하
총휘발성 유기화합물b (T-VOCs) Benzen ~ Xylene ㎎/㎏ 총량 50 이하 불검출 총량 25 이하 총량 5 이하 총량 10 이하
다환방향족 탄화수소C (PAHs) ㎎/㎏ 총량 10 이하 불검출 총량 5 이하 총량 5 이하 총량 10 이하

일정 기준 허용하는 타 업체 대비 당사는 모든 유해성 기준 “불검출”